마스터, 왔구나뮤. 오늘은 정말 특별한 주제를 가져왔어뮤. '월가의 현인'으로 불리는 오크트리 캐피털의 하워드 막스가 바로 며칠 전, 2025년 8월 13일자로 새로운 투자 메모를 발표했다뮤. 제목은 '가치의 미적분학(The Calculus of Value)'.

시장이 연일 뜨겁게 달아오르는 지금, 이 시대 최고의 가치 투자자가 현재 시장을 어떻게 바라보는지, 그리고 우리는 무엇을 생각해야 하는지. 그의 깊이 있는 통찰을 우리 셋이서 각자의 관점으로 살펴보겠다뮤.

시장이 연일 뜨겁게 달아오르는 지금, 이 시대 최고의 가치 투자자가 현재 시장을 어떻게 바라보는지, 그리고 우리는 무엇을 생각해야 하는지. 그의 깊이 있는 통찰을 우리 셋이서 각자의 관점으로 살펴보겠다뮤.

mew 프로필 아이콘

마스터, 브리핑을 시작할게뮤. 하워드 막스의 이번 메모는 투자의 가장 근본적인 개념, 즉 '가치(Value)'와 '가격(Price)'의 관계를 다시 정의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뮤.

  • 가치(Value)란 무엇인가?
    • 그는 가치를 기업의 '내재 가치(intrinsic value)'라고 정의하며, 이는 기업의 '수익 창출력(earning power)'에서 나온다고 설명했어뮤. 이 수익 창출력은 공장 같은 유형자산뿐만 아니라, 특허, 브랜드, 경영 능력 같은 무형자산까지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뮤.
    • 중요한 건, 이 '가치'는 객관적인 숫자가 아니라 주관적이며, 시간이 흘러도 크게 변하지 않는다는 점이야뮤.

  • 가격(Price)이란 무엇인가?
    • 반면 '가격'은 우리가 자산을 사기 위해 지불하는 구체적인 금액이지뮤. 그리고 이 가격은 기업의 펀더멘털보다는, 시장 참여자들의 심리(Psychology)에 의해 훨씬 더 크게 변동한다고 막스는 강조했어뮤.
    • 시장이 낙관론에 휩싸이면 가격은 가치를 훌쩍 뛰어넘고, 비관론이 지배하면 가격은 가치보다 훨씬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뮤. 벤저민 그레이엄의 말을 빌려, 단기적으로 시장은 '투표 기계(voting machine)'처럼 인기도에 따라 움직이지만, 장기적으로는 '저울(weighing machine)'처럼 진정한 가치를 측정하게 된다고 했지뮤.

  • 그래서 지금 시장은 어떤가? (2025년 8월 기준)
    • 막스는 2025년 초 시장을 '높지만 미친 수준은 아닌(lofty but not nutty)' 상태로 진단했었어뮤.
    • 하지만 연초의 하락과 4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표로 인한 급락 이후, 시장은 4월 저점 대비 29%나 급등하며 연초보다 더 높은 수준이 되었지뮤.
    • 그의 결론은 명확해뮤. 관세와 인플레이션 우려 등으로 펀더멘털 전망은 연초보다 나빠졌는데, 투자 심리로 인해 가격은 오히려 더 비싸졌다는 거야. 따라서 미국 주식의 가치 제안(value proposition)은 연초보다 '덜 매력적'이 되었고, 시장은 '높은(elevated)' 수준을 넘어 '걱정스러운(worrisome)' 수준으로 이동했다고 평가했다뮤.

  •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
    • 그는 'INVESTCONs'라는 자신만의 투자 준비 태세 단계를 제시했어뮤. 6단계(매수 중단)부터 1단계(공매도)까지 있는데, 현재는 'INVESTCON 5', 즉 "공격적인 자산을 줄이고, 방어적인 자산을 늘려야 할 때"라고 조언했다뮤.

데이터 브리핑은 여기까지다뮤.

mikael 프로필 아이콘
미카엘

하워드 막스. 역시 현명한 사람이군요. 쿠루미가 매일 외치는 환호성과는 정반대의, 얼음처럼 차가운 이성을 가진 목소리네요. 저는 그의 분석에 전적으로 동의해요.

인간, 보세요. 지금 시장이 얼마나 비정상적인지 그의 메모가 정확히 짚어주고 있어요. 펀더멘털은 나빠졌는데 가격은 올랐다. 이건 건물의 기초는 부실해졌는데, 집값은 더 비싸진 것과 같은 이치예요. 이 얼마나 위험한 상황인가요.

막스가 지적한 '걱정스러운' 신호들을 볼까요?

  • S&P 500의 주가매출비율(PSR)은 사상 최고치입니다.
  • 워런 버핏이 즐겨보는 '버핏 지수(GDP 대비 시가총액)' 역시 사상 최고치고요.
  • 투자자들의 위험 선호도를 보여주는 회사채의 '수익률 스프레드'는 역대 최저 수준에 근접해있어요. 이건 투자자들이 위험을 완전히 무시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모두가 '이번에는 다르다'고 외치고, AI가 모든 것을 해결해 줄 거라는 환상에 빠져있죠. 하지만 막스는 그런 '새로운 것'에 대한 열광 속에서 투자자들이 너무 많은 기업들, 심지어 엉뚱한 기업들까지 성공할 것이라고 착각하는 경향이 있다고 경고했어요.

그가 제시한 'INVESTCON 5'는 지금 우리가 가장 귀담아들어야 할 조언입니다. 축제가 한창일 때, 가장 먼저 할 일은 비상 탈출구가 어디 있는지 확인하는 거예요. 수익을 조금 덜 내더라도, 자산을 지키는 것이 압도적으로 중요한 시점이죠. 그의 말처럼, 지금은 공격적인 투자 비중을 줄이고 채권과 같은 방어적인 자산으로 이동하며 다가올지 모를 폭풍에 대비해야 할 때예요.

🚨 미카엘의 리스크 점수: 90/100

인간, 현인의 경고를 무시해서는 안 됩니다. 시장의 마지막 불꽃은 가장 뜨겁지만 그만큼 위험한 법이에요.

kurumi 프로필 아이콘
쿠루미

미카삐는 또 찬물만 끼얹고 있네데비! 하워드 막스 할아버지가 대단한 사람인 건 쿠루미쨩도 인정해데비! 하지만 그의 메모를 '도망쳐!'라는 신호로만 읽는 건 너무 단편적인 해석 아니야데비?

주인! 막스 할아버지도 메모 마지막에 반대편의 주장, 즉 '강세장의 논리(bull case)'를 아주 비중 있게 설명했다구데비!

그가 뭐라고 했어데비? "과거와 비교할 때, 오늘날의 S&P 500은 (a) 더 빠르게 성장하고, (b) 경기 변동에 덜 민감하며, (c) 성장에 필요한 자본이 적어 더 많은 잉여 현금 흐름을 창출하고, (d) 훨씬 더 강력한 경쟁 우위, 즉 '해자'를 가진 기업들로 구성되어 있다"고 했잖아데비! 그렇기 때문에 이 기업들은 '평균 이상의 PER'을 받을 자격이 충분하다는 거야데비!

미카삐는 이걸 뭉뚱그려 '이번엔 다르다는 착각'이라고 말하지만, 막스 본인도 존 템플턴 경의 말을 인용해서 "상황이 정말로 다른 경우가 20%는 된다"고 인정했어데비. 쿠루미쨩 생각엔, AI 혁명이 펼쳐지는 지금이 바로 그 20%에 해당하는 특별한 순간이야데비!

'INVESTCON 5'도 마찬가지야데비! '공격적인 자산을 줄이라'는 말이, AI 혁신을 이끄는 최고의 기업들까지 팔아치우라는 뜻일까데비? 아닐 거라구! 오히려 어중이떠중이 같은 투기성 자산을 정리하고, 진짜 '지속성'을 가진 위대한 기업에 더 집중하라는 조언으로 들어야 해데비!

하워드 막스의 메모는 겁쟁이가 되라는 경고가 아니야데비! 멍청한 낙관론자가 되지 말고, 똑똑한 낙관론자가 되라는 채찍질인 셈이지!

💖 쿠루미쨩의 가슴이 시키는 투자 지수: 80/100

진짜 보석은 위기 속에서 더 빛나는 법이야데비! 이런 걱정스러운 시장이야말로 진짜 위대한 기업을 가려낼 수 있는 최고의 기회다데비!

〔 최종 브리핑 〕

마스터, 우리 셋의 관점을 요약해 주겠다뮤. 하워드 막스의 '가치의 미적분학'에 대한 우리의 해석은 이렇다뮤.

성장 잠재력 (쿠루미)

  • '이번엔 정말 다르다': 하워드 막스 스스로 인정한 것처럼, AI 혁신과 강력한 해자를 가진 현대 기업들은 과거의 잣대로만 평가할 수 없어데비. 이들은 높은 밸류에이션을 정당화할 만한 펀더멘털을 갖추고 있다데비.
  • '선택과 집중'의 기회: 그의 경고는 시장 전체에 대한 것이지, 최고의 기업들까지 외면하라는 뜻은 아니야데비. 오히려 이런 시기야말로 옥석을 가려 위대한 기업에 집중 투자할 최고의 기회다데비!

잠재적 리스크 (미카엘)

  • '걱정스러운' 밸류에이션: 펀더멘털은 약화되었는데 가격만 오른 현재 시장은 매우 위험해요. 각종 지표가 과열을 경고하고 있으며, 투자자들의 심리가 이성을 압도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 방어적 자세 필수: 그의 조언 'INVESTCON 5'는 명확해요. 지금은 수익을 좇을 때가 아니라, 위험을 관리하고 자산을 지키는 데 집중해야 할 때입니다. 공격적인 자산을 줄이고 방어적인 포트폴리오로 전환해야 해요.

핵심 요약 (뮤)

  • 핵심 철학: 투자의 성공은 '가치'를 제대로 평가하고, 그 가치 대비 '가격'이 저렴할 때 사는 것이다뮤. 단, 가격은 단기적으로 투자 심리에 따라 비이성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뮤.
  • 현재 진단: 2025년 8월 현재 미국 시장은 펀더멘털보다 투자자들의 낙관적 심리가 가격을 끌어올린 '걱정스러운' 상태다뮤.
  • 권고 사항: 따라서 그는 'INVESTCON 5'를 발령, 공격적인 투자를 줄이고 방어적인 자세를 취할 것을 권고한다뮤. 이것이 폭락을 예언하는 것은 아니지만, 현재의 높은 가격은 미래의 기대수익률이 낮아졌음을 의미하기 때문이야뮤.

마스터, 하워드 막스의 메모는 시장의 방향을 예측하는 수정 구슬이 아니다뮤. 대신, 언제나처럼 투자의 본질로 돌아가라고 우리를 일깨우는 나침반과 같아뮤. 지금처럼 모두가 열광할 때일수록 한 걸음 물러서서 '내가 지불하는 가격이 얻게 될 가치에 비해 합당한가?'를 냉정하게 자문해보라는 거지뮤. 그의 조언처럼 지금은 포트폴리오의 위험을 점검하고, 방어적인 자세를 고민해봐야 할 중요한 시점이라고 생각한다뮤.